BMW 포토 스페이스
검색하기

분분한- 의견

Ami YOON

2015.07.24 ~ 2015.09.09

부산 해운대에 위치한 BMW Photo Space는 고은사진미술관이 후원하고, BMW 동성모터스에서 운영하는 사진전문갤러리로서 다양한 국내외 기획전시를 통해 한국사진의 스펙트럼을 넓히고자 올해 1월 개관하였다. BMW Photo Space는 한국의 신진작가들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靑사진 신진작가 지원 프로젝트’와 해외의 새로운 사진경향을 소개하는 ‘해외 신진작가 교류전’을 중심으로 다양한 전시를 기획해 나갈 예정이다. ‘靑사진’은 우리 사진계의 신진작가 군群을 소개함으로써 한국사진의 미래를 보여주기 위한 프로젝트이다. '청사진'은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열정과 실력을 갖춘 신진작가들을 발굴하고 그들이 한국사진계의 중심으로 성장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이는 고은사진미술관과의 유기적인 연계와 해외교류를 통해 지속적으로 진행될 것이다.

BMW Photo Space에서는 2015년 두 번째 靑사진 프로젝트로 윤아미의 《분분한- 의견》을 2015년 7월 24일부터 9월 9일 까지 선보인다. 윤아미는 상실에 기반한 개인의 경험과 기억을 중심으로 경계가 불분명한 인간의 반(半)의식 상태를 셀프 포트레이트를 통해 드러낸다. 이러한 주제의식과 작업방식은 초기작 ‘blossom’(2005)으로부터 최신작 ‘빌린 이야기’(2013-) 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각각 꿈과 현실을 배경으로 하는 ‘At night’(2010-2012)과 ‘빌린 이야기’(2013- )를 통해 무의식과 의식의 경계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At night>은 외부와의 갈등과 충돌에 의해 상처 입은 자아의 모습과 상처가 드러나지 못하도록 억누르고 있는 또 하나의 자아를 교차시킨다. 작가는 인적 없는 어두운 밤을 배경으로 정신적 외상을 상징하는 붉은 얼룩을 입은 소녀와 흰색 원피스를 입은 소녀로 분하여 분리된 두 자아를 연기한다. 각기 다른 옷을 입은 같은 얼굴의 두 소녀는 선명한 물리적 분리를 보이지만 내면의 정체를 밝히지 않는다. 이러한 의문은 언제든 서로 옷을 바꿔 입고 서로의 상황을 전복시킬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조성한다. 어두운 밤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자아를 만들어내지만 결국 하나의 개체를 공유하는 두 자아의 경계는 희미해진다. <At night>은 눈에 보이지 않는 인간 내면의 충돌과 갈등을 무의식이라는 가상의 세계를 통해 형상화한다. 이 형상화는 인간의 의식과 무의식, 실체와 비실체, 현실과 꿈의 경계를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At night>이 의식과 무의식을 상징화시킨 작업이라면 ‘빌린 이야기’는 의식과 무의식의 충돌을 현실세계를 빌어 좀 더 은유적으로 나타낸 작업이다. <빌린 이야기>는 작가의 유년시절 몽유병 경험에 기초하고 있다. 이 작업은 잠을 자는 동안 반복적으로 드러나던 문제의 행동들이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도 표출되었던 과거의 경험을 토대로,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에 대한 질문을 다시 한 번 던지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작가는 ‘방’이라는 공간에서 자신의 기억을 중심으로 즉흥적인 연기를 펼치고 기록하며 종래에는 그 기억의 매개체들을 방안의 천장에서 찾아낸다. 이때 천장은 꿈에 이르렀다가 다시 깨어나기 전에 마지막과 처음으로 시각이 마주하는 현실의 공간으로써, 작가에게 무의식의 세계로 진입하는 입구이자 출구가 되는 셈이다. 의식적으로 행해진 작가의 행위가 천장이라는 무의식의 문에 도달하였을 때 의도된 의식 무의식의 경계는 흐트러져버린다.

내면을 형상ㆍ상징화 시킨 <At night>이 의식과 무의식에 대한 정신적 해석을 반영했다면 <빌린 이야기>는 현실에서의 시각적 해석을 반영한다. 이렇듯 각각 꿈과 현실을 배경으로 서로 양극화 된 스타일을 보여주지만 두 작업은 두 의식 세계의 불분명한 경계에 초점을 맞춘다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다. <At night>은 붉은 얼룩과 흰 원피스라는 상징물을 통해 분리된 자아를 표면화 했다. 하지만 사진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같은 얼굴’과 흰 원피스 소녀의 ‘빨간 구두’는 분리 속에 남겨진 결정적 단서들로 물리적 분리의 모순을 말한다. <빌린 이야기> 역시 천장에 관한 작가의 퍼포먼스를 통해 현실과 꿈에 대한 중의적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이 해석들은 천장 중간의 단절된 선들에 대한 시선으로 이어지며 관람자들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인간의 본래적 요소로 다루어지는 의식과 무의식은 ‘인식’을 경계로 각각의 영역을 구분 짓는다. 하지만 우리는 이처럼 분명한 개념 정리와 달리 실재하는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를 명확하게 인지하지 못한다. 어쩌면 영화 ‘인셉션’의 대사처럼 우리가 꿈의 시작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과 비슷한 일일 것이다. 윤아미는 이러한 어렴풋한 감정과 기표로써만 전달되었던 의식과 무의식을, 사진을 통해 본인의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기의화 시킨다. 그리고 이 방법론은 두 의식이 상망(相望)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분분하게’ 존재한다라는 것을 보여준다. 셀프 포트레이트라는 작업 방식을 토대로 인간의 본질에 대한 끊임 없는 질문을 던지는 윤아미의 작업은, 뷰 파인더를 통해 대상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바라본 대상을 뷰 파인더로 옮겨 내는 행위로서, 인간의 본질에 관한 탐구를 이어갈 것이다.




BMW Photo Space is the photo specialty space located at Haeundae-gu, Busan that is supported by GoEun Museum of Photography and is operated by BMW Dongsung Motors. BMW Photo Space was opened in January 2015, aiming for broader spectrum of Korean photography through various special exhibitions, arrang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BMW Photo Space pursues several goals: 'Chung(靑) Photo Project' which seeks and supports rising artists in Korea, this project includes the significance of rising artists in the field of photography and the meaning of representing future figures for Korean photography. Thus, based on these notions, this project seeks for newbies who are talented and passionate enough, and provides the pedestal that they could further step on in the field of photography. This project will continue with the close relationship and international exchange exhibitions of GoEun Museum of Photography.

BMW Photo Space features the second Chung(靑) Photo project as A Mi Yoon’s Diverse Opinions from July 24th to September 9th 2015. A Mi Yoon focuses on her own experience and memory based on her personal loss to reveal the blurred boundary of human’s state of subconscious mind through her self-portrait. This kind of subjective matter and her way of working are continued from “Blossom” (2005) to “Borrowed Story” (2013- ). This exhibition shows the dream and reality through the backdrop of “At Night” (2010-2012) and “Borrowed Story” (2013- ), therefore, throwing questions about the borderline between consciousness and subconscious mind.

“At Night” mingles two different self-portraits: one is wounded self by the external conflict and collision and the other one is repressed self that keeps hiding its wound and injured self. The artist sets the dark night as backdrop; besides, the artist herself acts and turns into two separated selves: the girl wearing red smudge all over her body, which signifies her mental trauma, and the girl wearing a white dress. These two girls, who have the same face but wearing different attire, show distinctive physical separation but they do not reveal their internal identity. This kind of matter creates anxiety that each one of them might swap their clothing and then overthrow their own situation simultaneously. The dark night creates two different selves, however, the boundary between the two gets blurry as they share their identity from one individual. “At Night” illustrates the human’s internal collision and conflict through the imaginary world of unconsciousness. This embodiment is the work that directly shows the boundary between the human’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substance and non-substance, and reality and dream.

If “At Night” symbolizes the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en “Borrowed Story” metaphorically shows the collision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rough the real world. “Borrowed Story” is based on the artist’s sleepwalking experience in her youth. This work began by throwing a question about the boundary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based on her past experience of problematic behavior which was repeatedly shown during her sleep, and exposed even when she was fully awake. The artist spontaneously does performance in the space of ‘room’, and records it, and then she finally finds out the medium of such memory at the ceiling of the room. At this moment when she reaches to the dream state yet slightly before awakening, the ceiling becomes the realistic space where the gaze of the beginning and the end confronts for the first time; therefore, it concurrently becomes the entrance and the exit to enter the world of unconsciousness. The moment when the artist’s consciously performed action reaches to the door of unconsciousness, which is the ceiling, it scatters the boundary of unconsciousness and intended consciousness.

If “At Night” symbolizes and embodies the inner side, it reflects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about the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en “Borrowed Story” reflects visual interpretation of reality. Therefore, setting the backdrop as dream and reality, each of the two different works is polarized to each other; however, both share the common denominator which focuses on the unclear boundary of the world of two different consciousnesses. “At Night” externalizes the separated self through the symbol of red smudge and white dress. However, ‘the same face’ that repetitively appears and ‘the red heels’ that the white dress worn girl wear are the essential clues that are left during the separation but shows the paradox of physical separation in her photography. Alongside with “Borrowed Story”, it makes possible to give double interpretation of the dream and reality through the artist’s performance about the ceiling. Moreover, all these interpretations link to the gaze of disconnected lines in the middle of the ceiling; therefore, it stimulates the viewers’ imaginatio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at are treated as primitive components of human being distinguish each of their section through the boundary of ‘awareness’. However, unlike organizing the concepts, we do not acknowledge the boundary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completely clear. Maybe this could be similar situation to a dialogue from the movie Inception that once we begin to dream we cannot remember it. Overall, A Mi Yoon signifies the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which were only delivered as signifier and vague emotion, by sharing her own experience through her photographs. Besides, this methodology does not define that the two consciousnesses are confronting each other but ‘diversely’ exists. The works of A Mi Yoon keeps asking endless questions about the nature of human being based on her way of working on self-portrait. It is not just looking at the object through the view finder but is an action that transfers the objects that she looked to the view finder, thus, she will continue her research on the nature of human being.
아티스트 프로필보러가기

크게 보기

리스트 가기